가을의 길목(2018.9.4.화)
긴 여름의 끝자락
강풍과 폭우가 지나간 숲 속은 아수라장이다.
부러진 나뭇가지, 봄과 여름의 흔적을 남긴 열매들은 이리저리 뒹글고
그 속에서 숲 속의 요정 버섯들은 새 생명을 탄생시킨다.
숲 길에 널브러진 나뭇잎의 풋풋한 향기를 맡으며
따뜻한 웃음으로 아침의 문을 연다.
[이나무]
생명을 품은 신비의 숲
산간에 강풍을 동반한 집중호우가 내린다는
일기예보는 결국 휴양림 출입이 통제되어 아쉽게 발길을 돌린지 일주일...
갓 올라왔던 수정난풀은 열흘을 훌쩍 넘겼지만
성숙한 모습으로 힘겹게 자리를 지킨다.
자세히 보아야 더 아름다운 작은 들꽃들
누가 돌보지 않아도 억척스럽게 피어나는 들꽃들은
이름을 불러주면 환한 모습으로 다가와준다.
[수정난풀]
여름 숲 속은 버섯들의 천국이다.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던 그늘나무 사이로
바람이 나뭇잎을 흔들때마다 살짝 들어오는 햇살
그림자를 드리우다 햇살을 받으면
쑥쑥 자라는 버섯들은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빛깔로 유혹한다.
갓 위에 있는 흰가시 돌기가 이름을 말해주는 '흰가시광대버섯'
백색의 버섯은 눈사람 같기도 하고 골프공 모양이 매력적인 모습으로
외형이 닭다리를 닮아 '닭다리버섯'이라는 이명도 갖고 있다.
[흰가시광대버섯]
[싸리버섯]
산간에 내린 집중호우로
숲 속 요정들은 살맛나는 세상을 만났다.
여기저기서 불쑥 튀어나오는 달걀버섯은
한 발짝 내딛기를 포기하고 아예 주저앉게 만들어버린다.
계절은 모든 것을 변화시키지만
야생의 버섯은 식용버섯이든 독버섯이든
질서를 지키며 생태계의 정직한 분해자로서 자기 몫을 충실히 해낸다.
여름과 가을 사이 활엽수 주변에서 달걀버섯을 쉽게 만날 수 있다.
다 자란 달걀버섯보다 갓 태어나는 달걀모양 백색의 알에 싸여 있는 모습은
언제나 가슴 설레게 하는 묘한 매력을 가졌다.
[백색의 주머니 속에서 달걀모양의 어린버섯이 솟아오르는 모습]
[갓 둘레에 방사성 줄이 있는 모습]
[달걀버섯]
성장하면서 갓과 대가 나타나고
겉모양이 워낙 아름답고 화려해서 당연 독버섯이라 생각하지만 식용버섯이다.
로마시대에는 매우 귀한 대접을 받은 고급 버섯이라 그런지
'제왕(帝王)버섯' 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대 로마시대 네로 황제에게 달걀버섯을 진상하면
그 무게를 달아 같은 양의 황금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출처 : 야생버섯백과사전-푸른행복]
비온 뒤 흐르는 폭포에서 쏟아져 내리는
계곡의 물소리는 우렁찬 숲 속 여름의 합창제가 열린 듯
녹음 속에 묻혔던 여름색을 끄집어낸다.
[사철란]
[고사리삼]
[뱀톱]
바람이 머무는 세월의 숲
조금은 느려도 천천히 가다보면
지나가던 바람도 멈춰 서고 서늘한 바람은 가을로 초대를 한다.
[애기천마]
[한라천마]
저절로 발걸음이 멈춰선 곳
숲은 모자란 부분을 넉넉함으로 채워주며
'아낌없이 주는 나무' 가 되어준다.
아름답게 기억될 숲이 주는 상큼함에 걸음을 늦추고
숲을 담지는 못했지만 작은 생명이 갖는 자연의 신비로움을 엿보았다.
긴 여름의 끝자락에서 가을로 가는 길목
매미우는 소리가 더욱 우렁차다.
'들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요정 '깔끔좁쌀풀' (0) | 2018.09.10 |
---|---|
사약으로 쓰였던 '천남성' (0) | 2018.09.08 |
애기석장 '애기버어먼초' (0) | 2018.08.27 |
유리인형 '수정난풀' (0) | 2018.08.23 |
버섯들의 천국 '여름 숲' (0) | 2018.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