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 나들이161 바다 산책로가 아름다운 '송악산' 바다 산책로가 아름다운 '송악산'(2022.11.25. 금) 최고의 해안 경관을 자랑하는 사계리 '형제 해안로' 제주 올레 10코스의 사계포구에서 송악산까지 약 3.3km 구간으로 산방산, 한라산, 용머리해안, 박수기정, 형제섬, 송악산 등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걷기만 해도 장면마다 영화가 되는 절경은 가다 서기를 반복하게 한다. 크고 작은 섬이 형제처럼 마주하고 있는 무인도 '형제섬' 길고 큰 섬인 '본섬'에는 작은 모래사장이, 작은 섬 '옷섬'에는 주상절리층이 일품이다.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에 위치한 송악산은 높이 104m의 기생 화산체이다. 오름 절벽에 파도가 부딪쳐 '소리가 울린다'하여 '절울이', 또한 소나무가 많이 자라난다 하여 '송악산(松岳山)'이라 부른다. 송악산은 제주도의 최남단에 위치.. 2022. 11. 28. 대나무 숲이 매력적인 '매오름' 대나무 숲이 매력적인 '매오름'(2022.11.16. 수) 광활한 백사장과 제주다움이 물씬 풍기는 민속 해안로 표선리는 표선면의 면소재지로 5개의 자연취락을 형성한 해안마을로 마을 동쪽으로 하천리, 서쪽으로 세화 2리와 경계를 이루고 마을 서북쪽 매봉(매오름)은 표선리 전체를 매의 날개로 감싸 안은 듯한 형국을 하고 있다. 마을 해안에 넓게 펼쳐진 '한모살(표선 해비치 해변)' 썰물 때 드러나는 드넓은 백사장은 밀물때면 원형 호수로 바뀌는 색다른 멋을 가지고 있고, 당케포구는 제주올레 4코스(표선~남원올레) 시작점이기도 하다. 매오름(매봉)은 표선면 표선리 일주도로 한지동 북쪽 연변에 위치한 표고 136.7m, 비고 107m로 산정부에 돌출된 퇴적층의 바위가 멀리서 보면 매의 머리를 닮았고, 매가 머리를.. 2022. 11. 18. 별도봉의 봄날 별도봉의 봄날(2022.4.3. 일) 제주항 너머로 닮은 듯 다른 듯 맞닿은 바닷가 절벽을 나눠 형제처럼 다정한 오름 '사라봉과 별도봉'에는 화려한 자태를 뽐내는 봄의 여신 벚꽃이 제주의 짧은 봄을 화사하게 물들인다. 제주시의 최고의 오름 '사라봉'은 해발 148m 정도로 제주항 동쪽으로 바닷가에 접해 위치한 오름으로 오름의 형태는 북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로서 붉은 송이(스코리아)로 구성된 기생 화산체이다. 일제강점기 진지동굴, 산지등대, 봉수대 등 문화재가 많은 곳으로 제주 구도심에 자리 잡은 사라봉은 일대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도민들의 쉼터이자 운동 장소로 제주지역 숲 중 시민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있다. 정상에는 과거에 쓰였던 봉수대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군 군사 시.. 2022. 4. 7. 왕매를 담은 '금오름' 왕매를 담은 '금오름'(2022.3.29. 화) 못을 품은 신비로운 서쪽 언덕 '금오름' 봄비가 퍼붓고 지나간 자리, 못 안으로 투영된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 멈춰 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길에는 바라만 보아도 가슴 설레게 하는 봄꽃들이 마중 나왔다. 금오름은 해발 427.5m, 분화구 바깥 둘레 1,200m로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오롯이 서 있는 한림읍 금악마을의 중심에 있고 금물악, 거문오름, 금악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다 지금은 금오름으로 불리고 있다. 서부 중산간지역의 대표적인 오름 중의 하나로 산정부에 대형의 원형 분화구와 산정화구호를 갖는 신기의 기생 화산체이며 남북으로 2개의 봉우리가 동서의 낮은 안부로 이어지며 원형의 분화구(깊이 52m)를 이루고 있다. 정상으로 가는 가파른 시멘.. 2022. 3. 31. 성산일출봉 '일몰' 성산일출봉 '일몰'(2021.10.1. 금) 매일 해가 뜨고 지지만 자연이 주는 아름다운 선물은 잊고 살아간다. 일몰 명소로 서쪽 끝에서 바라보는 노을이 무척 아름답다고 하지만 제주의 동쪽 끝 성산일출봉에서 바라보는 일몰은 어떨까? 제주의 동쪽 끝 제주의 푸른 바다 위에 성채와 같은 모습으로 성산 포구 앞에 우뚝 서 있는 '성산' 사발 모양의 화구, 해안 절경과 더불어 관광지로 더 유명한 '성산일출봉' 그 자태만으로도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웅장한 모습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모양을 달리하는 배경 자체가 작품이 된다. 산 모양이 거대한 성과 흡사하기 때문에 성산, 제주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여 이곳에서 바라보는 해돋이를 '성산일출'이라 하여 영주십경의 제1경으로 '일출봉'이라 불렀다. 사발 모양의 분화구를 .. 2021. 10. 2. 습지를 품은 '원당봉' 습지를 품은 '원당봉'(2021.8.10. 화) 밭담이 아름다운 '진드르(넓은 들판)' 곧게 뻗은 도로는 마치 고속도로를 연상케 한다. 가을소풍 장소였던 원당봉으로 가는 길은 초등학생에겐 멀고 버거웠지만 빨갛게 익어가는 볼레낭과 멩기낭 앞에서는 힘든 것도 잊은 채 정신없이 따먹던 친구들과의 추억이 있는 곳이다. 진드르의 여름 풍경은 사라졌지만 예전의 기억을 더듬으며 원당봉으로 가는 길은 늘 설렌다. 원당봉으로 향하는 진입로에는 불탑사 오층석탑, 불탑사(조계종), 원당사(태고종), 문강사(천태종) 굵직한 서로 다른 3곳의 절이 모여 안내를 한다. '애절한 기황후의 역사가 깃든 원당봉이 가진 특별함' 일곱 개의 봉우리, 분화구 연못, 세 곳의 사찰, 오층 석탑 등 강한 생명력이 서린 상서로운 '원당봉'은 원.. 2021. 8. 17. 문도지오름 가는 길~ 문도지오름 가는 길~(2021.3.14. 일) 꽃샘추위가 물러나고 봄바람이 분다. 드넓은 녹차밭 사이에 자리 잡은 국내 최대의 차 종합 전시관인 '오설록 티 뮤지엄' 올레 14-1코스의 종점인 저지곶자왈을 시작으로 문도지오름까지 힐링의 길로 들어가 본다. 탁 트인 늘 푸른 녹차밭 비밀을 간직한 숲의 경계에는 주황색 화살표가 역 올레로 안내한다. 숲 속으로 들어서자 제일 먼저 눈에 띄는 노란 열매 마소들도 뒷걸음치게 하는 잎에 돋아있는 무시무시한 가시와 왕성한 번식력의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왕도깨비가지' 곶자왈 깊숙한 곳까지 자람 터를 넓혀간다. 몇 발짝 걸었을 뿐인데 곶자왈의 봄을 향기로 알려주는 '제주백서향' 빌레 위로 살짝 얼굴을 내민 신부의 부케를 닮은 순백의 사각 별은 바람이 나뭇잎을 흔들때마다.. 2021. 3. 16. 바다 위의 궁전 '성산' 바다 위의 궁전 '성산'(2020.12.11. 금) 제주의 동쪽 끝 제주의 푸른 바다 위에 성채와 같은 모습으로 성산 포구 앞에 우뚝 서 있는 '성산' 사발 모양의 화구, 그 자태만으로도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웅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 뜻하지 않게 코로나19에 많이 노출된 듯 불안감과 긴장감으로 마스크는 일상이 되어버렸다. 지친 일상, 파도소리 들으며 우도와 성산일출봉을 조망할 수 있는 언덕을 시작으로 수마포구 해안까지 간세다리가 되어 꼬닥꼬닥 걸어가 보자. 우도를 바라보기 좋은 바람 코지 낮은 언덕 흐릿한 날씨와 한적한 겨울 풍경으로 여유로운 아침을 맞이한다. 가을을 가을답게 수놓았던 연보랏빛 '갯쑥부쟁이' 시간을 거슬러 바다를 향한 마음을 담아 몰아치는 거센 바람에 바짝 엎.. 2020. 12. 14. 바람의 정원 '동검은이 오름' 바람의 정원 '동검은이 오름'(2020.10.23. 금) 여름이 지나간 자리 가을 햇살에 바람 따라 은빛 눈부심으로 물결치는 억새 제주도의 아름다운 드라이브코스(송당~수산 구간) 오름들 사이로 나 있는 도로 '오름 사이로'로 불리는 '금백조로' 붉은빛을 머금은 마술 같은 아름다운 풍광은 출렁이는 은빛 억새 사이로 환상적인 금백조로의 아름다운 곡선이 펼쳐진다. 동검은이오름은 보는 방향에 따라 다리를 세운 거미 모양과 혹 달린 낙타 모양 오름 안에 또 다른 오름이 생겨나고 거칠고 직선적이지만 부드러운 곡선과 곡선으로 이어지는 제주 오름의 진가를 보여준다. 가을 바람에 흩날리는 푸른 초원의 움직임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문석이란 사람이 살았던 오름이었을까? 제주 중산간이 주는 평온함 속에 잠시 머물다 갈 수 .. 2020. 10. 28. 이전 1 2 3 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