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의 식물(여름:목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여름(6~9월)의 목본(木本)편
[함박꽃나무]
목련과/낙엽활엽소교목
[박쥐나무]
박쥐나무과/낙엽활엽관목
[홍괴불나무]
인동과/낙엽활엽관목
[붉은병꽃나무]
인동과/낙엽활엽관목
[바위수국]
범의귀과/낙엽활엽덩굴식물
[등수국]
범의귀과/낙엽활엽덩굴식물
[산수국]
범위귀과/낙엽활엽관목
[탐라산수국]
범위귀과/낙엽활엽관목
[새비나무]
마편초과/낙엽활엽관목
[작살나무]
마편초과/낙엽활엽관목
[누리장나무]
마편초과/낙엽활엽관목
[쥐똥나무]
물푸레나무과/냑엽활엽관목
[백리향]
꿀풀과/낙엽활엽관목
[누른종덩굴:한라산 특산식물]
미나리아재비과/낙엽활엽덩굴식물
[화살나무]
노박덩굴과/냑엽활엽관목
[줄딸기]
장미과/낙엽활엽덩굴식물
[사람주나무]
대극과/낙엽활엽교목
[참빗살나무]
노박덩굴과/낙엽활엽소교목
[정금나무]
진달래과/낙엽활엽관목
[구상나무(검은색):한국 특산식물]
소나무과/상록침엽교목
[구상나무(푸른색)]
소나무과/상록침엽교목
[구상나무(붉은색)]
소나무과/상록침엽교목
[쪽동백나무]
때죽나무과/낙엽활엽교목
[단풍나무]
단풍나무과/낙엽활엽교목
[시로미]
시로미과/상록침엽관목
[산개버찌나무]
장미과/낙엽활엽교목
[분단나무]
인동과/낙엽활엽관목
[신갈나무]
참나무과/낙엽활엽교목
목본(木本)은 뿌리와 줄기가 자라서 줄기의 질이 단단해지는 식물을 말합니다.
나무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나무의 키와 생김새에 따라 구별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록수 : 늘푸른나무
*낙엽수 : 갈잎나무로 가을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
*침엽수 : 잎이 바늘모양으로 뾰족한데 겉씨식물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활엽수 : 잎이 넓은 속씨식물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속씨식물들은 열매 속에 씨가 들어있습니다.
*교목 : 원줄기가 3~4m이상 자라는 큰키나무
*관목 : 줄기가 지면에서 여러개로 갈라지는 작은키나무
한라산 식물 5편에 이어
6편 가을(9~11월)의 목본(木本)편이 이어집니다.
저의 소중한 자료입니다.
퍼가지는 마시고 감상만 하고 가세요^*^
'나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의 식물(겨울) (0) | 2016.01.18 |
---|---|
한라산의 식물(가을:목본) (0) | 2016.01.17 |
한라산의 식물(봄:목본) (0) | 2016.01.15 |
암수딴그루 '굴거리나무' (0) | 2015.12.30 |
보석보다 아름다운 '누리장나무' (0) | 2015.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