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의 식물(겨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겨울(12~2월)의 초본(草本) & 목본(木本)편
[제주조릿대(한라산 특산식물)]
화본과(벼과)/여러해살이풀
[겨울딸기]
장미과/낙엽활엽관목(덩굴)
[참빗살나무]
노박덩굴과/낙엽활엽소교목
[상산나무]
운향과/낙엽활엽관목
[겨우살이]
겨우살이과/상록기생관목
[마가목]
장미과/낙엽활엽관목
[주목]
주목과/상록칩엽교목
[구상나무(한국 특산식물)]
소나무과/상록칩엽교목
[섬매발톱나무(한라산 특산식물)]
매자나무과/낙엽활엽관목
[좀고채목]
자작나무과/낙엽활엽교목
[산철쭉]
진달래과/낙엽활엽관목
[소나무]
소나무과/상록침엽교목
[떡윤노리나무]
장미과/낙엽활엽소교목
[야광나무]
장미과/낙엽활엽소교목
목본(木本)은 뿌리와 줄기가 자라서 줄기의 질이 단단해지는 식물을 말합니다.
나무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나무의 키와 생김새에 따라 구별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록수 : 늘푸른나무
*낙엽수 : 갈잎나무로 가을에 잎이 떨어지는 나무
*침엽수 : 잎이 바늘모양으로 뾰족한데 겉씨식물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활엽수 : 잎이 넓은 속씨식물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속씨식물들은 열매 속에 씨가 들어있습니다.
*교목 : 원줄기가 3~4m이상 자라는 큰키나무
*관목 : 줄기가 지면에서 여러개로 갈라지는 작은키나무
'나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비소리 '순비기나무' (0) | 2016.07.10 |
---|---|
똥낭 '돈나무' (0) | 2016.02.25 |
한라산의 식물(가을:목본) (0) | 2016.01.17 |
한라산의 식물(여름:목본) (0) | 2016.01.16 |
한라산의 식물(봄:목본) (0) | 2016.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