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 이야기

물가 '수생식물'

by 고니62 2020. 9. 5.

물가 '수생식물'

 

강력하고 풍부한 바람이 머무는 바람길 '수산평'

여름의 끝자락에 찾아간 '수산 한 못'은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어수선해 보이지만 

수산 한 못 가장자리를 가득 채운 홍자색 물결 

일렁이는 바람에 출렁이는 물결 사이로 가을이 내려앉았다.

긴 장마와 폭염을 견뎌내고 습지에 뿌리를 내린 '전주물꼬리풀' 

바람의 기운이 느껴지는 수산 한 못의 주인공이 되었다.

 

[수산 한 못]

'수산 한 못'은 수백 년이 지난 오래된 곳으로

수산평(벌판, 초원}의 한가운데 위치해 마장의 말과 소에게 물을 먹이고, 

주민들의 식수로도 사용해 왔던 유래 깊은 곳이다.

'전주물꼬리풀'은 제주도 동부 지역의 습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어 

2010년 성산읍 수산리 자생지에서 개체를 채집하여 

이곳 '수산 한 못'에 200여 본의 '전주물꼬리풀'을 복원하였다.

 

[전주물꼬리풀: 꿀풀과/여러해살이풀]

전주물꼬리풀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북 전주에서 발견되어 전주의 지명을 따 '전주물꼬리풀'로 명명되었다.

물이 얕게 고여 있는 낮은 지대에 형성된 습지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이다.

 

물속이나 물가에서 서식하는 수생식물 

수생식물은 오염된 물을 정화시켜 주기도 하지만 

물가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로 동물들의 서식처이면서 

먹이로 이용되는 아주 유용한 식물이다.

 

[외풀: 현삼과/한해살이풀]
[논둑외풀: 현삼과/한해살이풀]
[사마귀폴: 닭의장풀과/한해살이풀]
[송이고랭이: 사초과/여러해살이풀]
[개구리밥: 개구리밥과/여러해살이풀]
[올방개: 사초과/여러해살이풀]
[골풀: 골풀과/여러해살이풀]
[부들: 부들과/여러해살이풀]
[부처꽃: 부처꽃과/여러해살이풀]
[수염가래꽃: 초롱꽃과/여러해살이풀]
[기장대풀: 벼과/여러해살이풀]
[택사: 택사과/여러해살이풀]
[마름: 마름과/한해살이풀]
[물질경이: 자라풀과/한해살이풀]
[어리연꽃: 조름나물과/여러해살이풀]
[노랑어리연꽃: 조름나물과/여러해살이풀]
[네가래: 네가래과/여러해살이풀]
[흰꽃물고추나물: 물레나물과/여러해살이풀]
[여뀌바늘: 바늘꽃과/한해살이풀]
[창포: 천남성과/여러해살이풀]
[노랑꽃창포: 붓꽃과/여러해살이풀]
[가래: 가래과/여러해살이풀]
[물양귀비: 양귀비과/여러해살이풀]
[물칸나: 마란타과/여러해살이풀]
[수련: 수련과/여러해살이풀]
[수련: 수련과/여러해살이풀]
[연꽃: 수련과/여러해살이풀]
[연화지]

수생식물들의 작은 천국 '습지' 

수면 위로 다소곳이 얼굴을 내민 눈부심에 시선이 멈추고 

물의 요정들의 수중발레는 날아다니던 잠자리도 쉬어가게 한다.

'들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무릇 '석산'  (0) 2020.10.11
계곡의 '수정난풀'  (0) 2020.09.19
여름 숲의 끝자락  (0) 2020.08.29
이야기가 있는 여름 숲  (0) 2020.08.10
상잣질 '봄의요정' 선발대회  (0)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