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 길따라

여름, 청수곶자왈

by 고니62 2024. 8. 16.

여름, 청수곶자왈(2024.8.14. 수)

 

느닷없이 소낙비가 한바탕 퍼붓고 지나간 자리, 

8월의 이글거리는 태양도 잠시 숨었다.

가지 끝마다 원뿔모양의 꽃이 밑에서 벌어지면서 위로 올라가며 

이어달리기로 피기 때문에 100일 동안 피는 꽃으로 착각이 드는 '배롱나무' 

회색빛 하늘 배경으로 멋스럽게 핀 주름꽃이 한층 더 돋보인다.

 

[배롱나무]

제주의 오지 중산간 마을 위쪽 들녘 '웃뜨르' 

(웃뜨르는 척박한 땅 청수, 낙천, 산양, 저지 4개의 마을을 일컫는다.) 

제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별 흐르는 마을 반딧불이 마을 '청수리' 

청수리는 제주시에서 서쪽으로 약 45km에 위치한 

동쪽으로는 저지리, 서쪽으로는 낙천리, 남쪽으로는 산양리,

북쪽으로는 한림읍으로 에워싸인 서부 중산간마을로 '맑고 깨끗한 물'을 의미한다.

청수마을은 제주곶자왈도립공원과 인접해 있어 

제주의 원시적인 자연을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아늑함을 더해준다.

 

[청수곶자왈]

청수곶자왈은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에 위치한 

마을 공동목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으로 

도내 최장거리 곶자왈지대인 도너리오름에서 시작하는 

한경-안덕 곶자왈 지대의 중심부에 속한다.

(애월 곶자왈지대, 조천-함덕 곶자왈지대, 구좌-성산 곶자왈지대)

 

[누리장나무]
[말들의 산책]

반딧불이가 사는 청수곶자왈, 웃뜨르 빛센터 

구르마(수레의 방언)를 끌고 소와 말들이 다니던 길은 탐방로가 되어 

걷기만 해도 기분 좋아지는 편안한 숲의 기운이 느껴진다.

곶자왈로 들어서자 우렁찬 매미 울음소리, 말똥의 구수한 냄새, 

어미에게 도움 되는 쓴맛 나는 풀 '익모초' 

잡초가 무성한 틈 새로 작은 바람에 흔들리는 '마편초'는 자람 터를 넓혀가고, 

만개한 '누리장나무'는 여름의 끝을 알린다.

 

[마편초]
[익모초]
[시작점]

일반적으로 곶자왈이란 

화산이 활동할 때 분출된 암괴상 지대에 형성된 숲을 뜻하는 제주어로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를 함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멸종위기 야생식물을 비롯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이자 

한라산과 해안을 연결시키는 생태축 역할을 하고 있다.

빗물이 지하로 흘러들어 지하수를 만들기 때문에 제주 생태계의 허파로 불린다.

 

청수곶자왈의 생태적 특성은 

화산 활동 때 분출된 용암으로 만들어진 곶자왈로 

공중습도가 높은 독특한 미기후를 형성해 

나무의 씨앗은 표토층이 거의 없는 바위틈에서도 발아하고 

토양으로 뿌리를 길게 내려 마치 열대우림의 나무뿌리처럼 기괴한 형상을 한다.

또한 곶자왈의 미기후는 남방한계식물과 북방한계식물이 공존할 수 있는 
비오톱환경을 제공하여 생태축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수곶자왈]

숲은 생명력의 발원지이다.

숲 상부는 높이 10m 내외로 성장한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며 

개가시나무, 녹나무, 아왜나무, 생달나무, 동백나무, 육박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고 

예덕나무, 이나무, 붉나무, 덧나무, 단풍나무 등 낙엽활엽수의 혼효림으로 

과거 수백 년 동안 거대한 숲을 만들어냈다.

 

[녹나무]

청수곶자왈은 제주도에서 녹나무가 가장 많이 자라는 지역 중 하나로 

잎을 비롯해 나무 전체에 장뇌하는 케톤화합물을 가지고 있어 

약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늘 푸른 나무이다.

 

[4월: 빌레나무 꽃]
[5월: 이나무 꽃]
[이나무 열매]
[황칠나무]
[산초나무]
[초피나무]
[밤나무산 누에나방고치]
[왕초피나무]

대부분 과거 숯이나 땔감 등의 목적으로 벌채 후, 

밑동에서 새로운 줄기가 자라서 형성된 맹아지가 많이 보인다.

지금도 곶자왈에는 경계를 둘렀던 돌담의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가는쇠고사리]

수풀이 우거져 원시림의 한 부분에 서 있는 듯 

거친 바위틈으로 기괴한 형상의 뿌리를 내린 나무들 

화산암과 돌무더기가 지반을 이루어 농사를 지을 수 없었던 쓸모없었던 땅 

옛날 사람들은 불모지에 가까운 땅 곶자왈을 

방목지로 이용하거나 땔감을 얻었고, 숯을 굽고 식물을 채취하는 곳으로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유용하게 얻었다.

 

[가는쇠고사리]

곶자왈 깊숙한 곳으로 들어갈수록 주위는 어둡고 

늘 푸르름을 간직한 용암숲은 생명의 공간으로 양치식물들의 천국이다.

숲의 땅 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양치식물 

곶자왈에는 가는쇠고사리가 군락을 이루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내음성이 강한 난대성 양치식물의 서식밀도가 높은 편으로 

콩짜개덩굴, 더부살이고사리, 도깨비고비, 꼬리고사리, 큰봉의꼬리 등 

음지에 강한 양치식물들이 많이 보인다.

나무와 암석이 만들어내는 착생식물과의 공존 

숲은 조용하게 느껴지지만 그 안에서는 햇빛과의 치열한 전쟁을 치르는 중이다.

 

[콩짜개덩굴]
[밤일엽]
[더부살이고사리]
[큰봉의꼬리]
[새우난초]
[제주백서향]

이른 봄~

향수를 뿌리지 않아도 작은 꽃에서 나는 은은한 향기로 
일찍 봄소식을 전해주었던 곶자왈의 발레리나 '길마가지나무' 

바람이 나뭇잎을 흔들 때마다 

곶자왈의 봄을 향기로 알려주는 신부의 부케를 닮은 '제주백서향'은 

진녹색의 잎만 무성한 채 곶자왈 지킴이가 되어준다.

 

[길마가지나무 '꽃과 열매']
[제주백서향 '꽃과 열매']

제주백서향 축제 

(청정제주 청수리의 봄을 알리는 향기로운 제주백서향 탐방!)

제주백서향 축제는 제주백서향 꽃이 피는 시기에 맞춰 

축제가 진행되므로 청수리 홈페이지의 축제 관련 공지사항을 확인하고 예약하면 된다.

청수곶자왈에서 자생하는 제주백서향은 

1년 중 가장 먼저 피는 꽃으로 2월 말에 꽃을 피워 한 달 정도 유지되면 

이 시기 청수곶자왈은 꽃향기로 가득합니다.

 

[반딧불이 이야기]

곶자왈의 요정 '불란지' 

개똥벌레(제주어: 불란지)로 알려진 반딧불이는 

생태계가 잘 보전된 청정환경에서만 자란다.

불빛을 드러냈다 감췄다를 반복하는 점멸성 발광이 아름답다는 '운문산반딧불이' 

청수곶자왈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운문산반딧불이는 

6월 장마가 시작되면서 모습을 드러내 7월 말까지 여름밤이면 

반딧불이의 비행하는 멋진 향연이 펼쳐진다.

청수리 마을회에서 개최하는 '운문산 반딧불이 축제'는 

6월부터 7월(한 달간) 중 3구간 탐방코스로 나눠 오후 8시부터 진행한다.

A코스 숲터널 길(2.6km, 70분: 기본코스) 

B코스 테우리 길(3.0km, 80분: 셔틀버스 이용 코스) 

C코스 미지의 숲길(1.5km, 40분: 어린이 코스)이 있다.

 

 

하늘을 가린 우거진 나무 사이로 

시간이 멈춘 듯 내가 그리던 마법 같은 풍경이 펼쳐지고, 

초록빛 봄, 숲을 이루어 가는 나무마다 갈색 낙엽이 되어 수북이 쌓인 낙엽길, 

정돈된 듯 비밀의 숲은 여름향기로 채워간다.

 

[으름]
[섬다래]
[다래]
[탱자나무]
[댕댕이덩굴]
[단풍마]
[마]
[미국자리공]
[주홍서나물]
[돌동부]
[쥐꼬리망초]
[노랑하늘타리]
[종료]

한여름, 바람이 머무는 숲길 

사계절 얼굴 속에 숨어있는 늘 푸르름을 간직한 생명력이 가득 찬 곶자왈 

나무는 돌에 의지하고 돌은 나무에 의지하며 힘겹게 살아가고 

구불구불한 수형의 특이한 나무, 바위를 덮어버린 이끼류와 고사리 

여름향이 짙어진 곶자왈도 힘겨운 여름나기를 한다.

'제주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령리 '금능리'  (0) 2024.08.30
여름 숲  (2) 2024.08.27
교래리 제주돌문화공원  (9) 2024.08.04
족은노꼬메 둘레길  (2) 2024.07.19
편백낭이 아름다운 '소롱콧 길'  (1) 202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