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16 보물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보물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들꽃이야기36 ◆ 현호색과 / 두해살이풀 ◆ 학명 : Corydalis incisa ◆ 꽃말 : 보물주머니 길가에 너무나도 흔해 잡초로 취급되거나 관심조차 받지 못하고 팽개치듯 내버려진 이름도 괴상한 괴불주머니.. 제주에서는 해안에서 중산간까지 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 2015. 4. 9. 연못이 아름다운 '조수리마을' 둘레길~ 연못이 아름다운 '조수리마을' 둘레길~(2015.4.7.화) 제주시 최서단인 한경면 중산간에 위치한 '조수리'는 예전부터 물이 귀해서 마을 사람들이 물통을 파서 식수와 가축의 먹는물을 마련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지금도 마을 곳곳에는 예전에 파 놓았던 물통들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 2015. 4. 8. 비밀의 정원 '활오름~들렁모루' 비밀의 정원 '활오름~들렁모루'(2015.4.5.일) 서귀포시 강정동에 위치한 활오름은 높이 187m로 북사면으로 우묵하게 패인 형태의 말굽형 화구로 서사면 기슭에는 강정천의 상류가 흐릅니다. 산모양이 활처럼 생겼다하여 혹은 오름의 모양새가 활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한자이름 궁악(弓.. 2015. 4. 6. '산달래'가 사는 안세미오름 '산달래'가 사는 안세미오름(2015.3.31.화)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안세미오름은 말굽형 화구로 높이는 396.4m로 왕복 1시간3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오름 기슭에 조리샘(쌀을 이는 데 쓰는 조리같이 생긴 샘), 조래천(깊은 산 속 새가 와서 먹고 가는 옹달샘), 명도천(조선시대 유학자 명도암선.. 2015. 4. 2. '생태공원'이 있는 광이오름 '생태공원'이 있는 광이오름(2015.3.29.일) 제주시 연동에 위치한 광이오름은 말굽형 화구를 한 높이 266.8m의 나지막한 오름이다. 오름의 모양새가 광이(괭이)모양으로 생겼다하여 광이오름이라 하기도 하고 오름의 형태가 남짓은오름(남조순오름)에 대해 간(肝)의 모양이라 하여 간열악(肝列.. 2015. 4. 1. 고양이눈 '산괭이눈' 고양이눈 '산괭이눈' 들꽃이야기35 ◆ 범위귀과 / 여러해살이풀 ◆ 학명 : Chrysosplenium japonicum ◆ 꽃말 : 변하기 쉬운 마음 봄이 오자마자 꽃을 피우는 아이들은 꽃샘추위가 주춤하는 동안에 여기저기서 물이 오르는지 언 바닥을 녹이기 시작합니다. 들꽃을 찾아 숲 속 구석구석을 찾아 헤매.. 2015. 3. 29. 봄처녀 '산자고' 봄처녀 '산자고(山慈姑)' 들꽃이야기34 ◆ 백합과 / 여러해살이풀 ◆ 학명 : Tulipa edulis ◆ 꽃말 : 봄처녀 나른한 일요일 오후... 봄처녀 '산자고'가 지금쯤이면 한창이겠다 싶어 서둘러 집을 나섭니다. 오래간만에 찾은 오름은 군데군데 재선충의 흔적으로 가는 걸음을 무겁게 합니다. 빽빽.. 2015. 3. 26. 쪽빛 바다 '산쪽풀' 쪽빛 바다 '산쪽풀' 들꽃이야기33 ◆ 대극과 / 여러해살이풀 ◆ 학명 :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 꽃말 : 변산바람꽃과 세복수초에 밀려난 진초록 잎이 아름다운 산쪽풀~ 한 겨울에도 눈 속에 파묻혀 파란 빛을 잃지 않고 봄을 기다리며 조용히 숲 속을 지킵니다. 숲 속 그늘진 곳이나 .. 2015. 3. 25. '산자고'가 곱들락한 민오름(오라)~ '산자고'가 곱들락한 민오름(오라)~(2015.3.22.일) 제주시 오라동에 위치한 민오름은 높이 251.7m, 말굽형 굼부리 형태를 한 나지막한 오름이다. 나무가 없는 풀밭오름이라 하여 민오름(民岳, 戊岳)이다. 옛날에는 오름이 민둥산이었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은 소나무, 천선.. 2015. 3. 24.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