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이야기71 벚꽃의 왕 '왕벚나무' 벚꽃의 왕 '왕벚나무' 나무이야기28 ◆ 장미과 / 낙엽활엽교목 ◆ 학명 : Prunus yedoensis◆ 꽃말 : 순결, 뛰어난 미인 하늘에서 꽃비가 내린다는 어설픈 거짓말로 만우절의 하루는 기분좋은 웃음으로 속아준다. 하얀구름을 뒤집어 쓴 흐드러지게 핀 벚꽃은 새하얀 속살을 드러내고 잠시 머문 .. 2017. 4. 12. 곶자왈의 봄 곶자왈의 봄(2017.2.21.화) 백서향의 꽃말 '꿈 속의 사랑' 부처님이 내린 상서로운 향기를 가진 순백의 '백서향' 작년에도, 재작년에도 이 아이를 만나기 위해 한달음에 달려간 곶자왈 2월이 시작되면서 꿀내음은 어김없이 곶자왈로 향하게 한다. 용암숲은 생명력의 발원지이다. 곶자왈은 상.. 2017. 2. 21. 숲이 된 나무 '반얀트리' 숲이 된 나무 '반얀트리' 나무는 대부분 위로 자란다고 생각한다. 사실상 그렇기도 하고... 하지만 이런 나의 잘못된 생각을 과감하게 깨버린 나무가 인도에 있었다. 인도의 북부에는 부처님의 8대 성지가 있는데 부처님의 발자취를 따라 순례를 하는 동안 성지 주위에는 족히 몇 백 년은 된 듯 웅장하면서도 거대한 늘 푸른 반얀나무(Banyan Tree)가 녹색의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준다. 나무 주위로 집이나 상가가 밀집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돋아나 산발하고 잔뜩 먼지를 뒤집어쓴 채 길게 허공에 늘어진 뿌리는 기이한 모습으로 아직까지도 기억에 또렷이 남아 있다. 인도에 머무는 동안 늘 가까이에서 볼 수 있었던 나무는 부처님이 깨달았을 때 앉아 있던 신선이 깃든다는 '핍팔라나무(보리수.. 2017. 2. 4. 숨비소리 '순비기나무' 숨비소리 '순비기나무'(2016.7.8.금) 산방산이 보이는 뜨거운 오후 장맛비가 잠시 주춤한 틈을 타 붙볕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길동무들과 답사길에 나섰다 잠시 머무른 곳엔 눈이 시린 파란하늘과 수평선이 잡힐 듯 솔빛바다가 한 눈에 들어온다. 풀숲이 또렷하게 보이는 형제섬, 바위에 부.. 2016. 7. 10. 똥낭 '돈나무' 똥낭 '돈나무' 나무이야기27 ◆ 돈나무과 / 상록활엽관목 ◆ 학명 : Pittosporum tobira ◆ 꽃말 : 포용, 번영 바닷가 기슭이나 절벽에는 바닷바람과 맞서며 짠 바닷물을 뒤집어 쓰고도 아무런 불평없이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로 버틴다. 내염성이 강한 돈나무는 제주 해안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 2016. 2. 25. 한라산의 식물(겨울) 한라산의 식물(겨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겨울(12~2월)의 초본(草本) & 목본(木本)편 [제주조릿대(한라산 특산.. 2016. 1. 18. 한라산의 식물(가을:목본) 한라산의 식물(가을:목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가을(9~11월)의 목본(木本)편 [보리수나무] 보리수나무과/낙엽.. 2016. 1. 17. 한라산의 식물(여름:목본) 한라산의 식물(여름:목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여름(6~9월)의 목본(木本)편 [함박꽃나무] 목련과/낙엽활엽소.. 2016. 1. 16. 한라산의 식물(봄:목본) 한라산의 식물(봄:목본) 한라산 둘레길에서부터 백록담 정상(해발 1,950m)까지 사계절 담았던 식물(꽃과 열매, 단풍)들을 모았습니다. 봄은 3~5월, 여름은 6~8월, 가을은 9~11월, 겨울은 12~2월로 정하고 담은 차례대로 실었습니다. **봄(3~5월)의 목본(木本)편 [분단나무] 인동과/낙엽활엽관목 [이.. 2016. 1. 15.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