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 이야기294

꽃방망이 '메밀여뀌' 꽃방망이 '메밀여뀌' 무심코 지나쳤던 귀퉁이 콘크리트 화단 작년에도 올해도 어김없이 자기들의 색깔을 만들어가며 가을 햇살 아래 화단 주위로 흐드러지게 피어 바닥을 연분홍으로 물들인다. 자연스럽게 벋어가는 줄기에서 내린 뿌리는 콘크리트 화단이 자람 터가 되었고 작은꽃들이 .. 2017. 11. 2.
섬투구꽃 '한라돌쩌귀' 섬투구꽃 '한라돌쩌귀' 가을 억새가 전해준 은빛 선물 붉은 속살을 드러내며 햇빛에 반사된 반짝이는 눈부심은 내가 바람이 된 듯 가을 속으로 젖어든다. 한라산의 가을은 깊어가고 산상의 정원을 시작으로 가을을 노래하던 한라돌쩌귀는 어느새 오름자락으로 내려왔다. 오름 들머리부터.. 2017. 10. 30.
헛수술이 아름다운 '물매화' 헛수술이 아름다운 '물매화' 단풍이 시작되는 계절~ 생명력 강한 들꽃들은 제주를 가을색으로 물들인다. 물을 좋아하고 매화 닮은 꽃이 피어 붙여진 이름 '물매화' 가을 들판은 보라빛으로 수를 놓지만 하얀 물매화에게 가을 여왕의 자리를 내어준다. 하늘을 향해 청순, 가련하지만 수수한.. 2017. 10. 22.
담배대더부살이 '야고' 담배대더부살이 '야고' 제주의 가을은 붉은빛을 머금고 바람따라 출렁이는 은빛억새의 눈부심으로 가을의 문을 연다. 태양의 빛에 반사되어 반짝이는 은빛물결 일렁이는 가을 금백조로의 억새길은 내가 바람이 된 듯 양쪽의 오름들을 감상하며 환상적인 드라이브코스로 더 유명해진 중.. 2017. 10. 16.
황야의 무법자 '왕도깨비가지' 황야의 무법자 '왕도깨비가지' 원물오름 기슭에 언제 터를 잡았을까? 땅에 떨어지면 또르륵 소리를 내며 굴러갈 것 같은 아름다운 빛깔 노란구슬 멀리서 보는 아름다움에 다가가는 순간 무시무시한 가시가 다가오지 못하도록 경계를 늦추지 않는다. '왕도깨비가지'이다. 왕도깨비가지는 .. 2017. 10. 15.
제주도 외래식물(가을편) 제주도 외래식물(가을 편) 제주도는 한라산 천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지역이다. 외래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들어온 식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주도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은 외국 또는 국내의 타 지역으로부터 도입되어 제주도 자연생태계의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식물로서 특별히 관리되어야 하는 종이다. 도입 배경은 식용, 약용, 목초,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 되었거나 관상용 등 원예 목적, 사방용, 기타 포함해서 외래식물은 254종이 있다고 한다. 국가마다 지정된 위해식물은 다른데 4개국에서 '돼지풀'을 지정한 것으로 봐서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돼지풀의 피해는 위협적이다. ** 제주도내 외래식물의 .. 2017. 10. 6.
제주도 외래식물(여름편) 제주도 외래식물(여름 편) 제주도는 한라산 천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지역이다. 외래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들어온 식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주도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은 외국 또는 국내의 타 지역으로부터 도입되어 제주도 자연생태계의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식물로서 특별히 관리되어야 하는 종이다. 도입 배경은 식용, 약용, 목초,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 되었거나 관상용 등 원예 목적, 사방용, 기타 포함해서 외래식물은 254종이 있다고 한다. 국가마다 지정된 위해식물은 다른데 4개국에서 '돼지풀'을 지정한 것으로 봐서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돼지풀의 피해는 위협적이다. ** 제주도내 외래식물의 .. 2017. 10. 5.
제주도 외래식물(봄편) 제주도 외래식물(봄 편) 제주도는 한라산 천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지역이다. 외래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들어온 식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주도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은 외국 또는 국내의 타 지역으로부터 도입되어 제주도 자연생태계의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식물로서 특별히 관리되어야 하는 종이다. 도입 배경은 식용, 약용, 목초,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 되었거나 관상용 등 원예 목적, 사방용, 기타 포함해서 외래식물은 254종이 있다고 한다. 국가마다 지정된 위해식물은 다른데 4개국에서 '돼지풀'을 지정한 것으로 봐서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돼지풀의 피해는 위협적이다. ** 제주도내 외래식물의 등.. 2017. 10. 4.
마늘향기 '한라부추' 마늘향기 '한라부추' 한라산의 가을꽃들은 산 아래보다 일찍 찾아온다. 헛수술로 벌과 나비를 유혹하는 애기물매화가 피었다는 소식에 한달음에 윗세오름 가는 길에 만난 하늘과 가까운 신비의 산지습지 진한 마늘 향기가 코 안으로 들어온다. 붉은물결 부추꽃 세상을 만났다. 아침 햇살.. 2017.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