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 나들이173 해맞이 명소 '자배봉' 해맞이 명소 '자배봉'(2015.12.15.화) 남원읍 위미리에 위치한 자배봉은 표고 211.3m, 비고 111m로 원형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자배낭(구실잣밤나무의 제주어)이 유난히 많은 것으로 보아 자배봉(오름)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어 '망오름'이라고도 불립니다. 북쪽과 남쪽 두개의 봉우리.. 2015. 12. 16. 겨울딸기가 탐스런 '각시바위' 겨울딸기가 탐스런 '각시바위'(2015.12.11.금) 서귀포시 호근동에 위치한 각시바위는 형태는 원추형이고 표고 395m로 이 오름의 돌들은 조면암질로 녹회색을 띠고 있는데 굳고 단단한 세사질(細砂質) 암석으로 되어 있습니다. 오름을 오르는 동안 등반로에 깔아 놓은 돌들은 모양이나 색깔이 .. 2015. 12. 15. 외로운 산 '고근산' 외로운 산 '고근산'(2015.12.11.금) 서귀포시 서호동에 위치한 고근산은 서귀포시 신시가지를 감싸고 있는 기생화산으로 표고 396.2m로 산정부에는 깊지 않은 원형분화구를 갖고 있는 오름입니다. 고근산(孤根山)은 주위에 산이 없이 외로운 산이라는 뜻으로 예전에 호근리에 소속되어 있어 호.. 2015. 12. 13. 한라산 산정호수 '사라오름' 한라산 산정호수 '사라오름'(2015.10.19.월) 백록담을 제외한 산정호수가 있는 오름 중에 가장 높은 한라산 중턱에 위치한 사라오름은 해발 1,324m로 성판악코스 약 5.8km지점에 있습니다. 접시모양의 분화구는 물이 고여 습원을 이루고 있는데 왕복 4~5시간이면 다녀올 수 있습니다. 어둠이 깔린.. 2015. 10. 24. 거대한 굼부리를 품은 '체오름' 거대한 굼부리를 품은 '체오름'(2015.10.26.금) 구좌읍 송당리에 위치한 체오름은 말굽형 형태를 한 표고 382.2m로 정상까지는 3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오름의 모양새가 곡식 따위를 까부는데 이용되는 체('키'의 제주어)와 비슷하다고 하여 체오름이라 불립니다. 또는 골체('삼태기'의 제주어).. 2015. 10. 18. 오름정원 '안돌~밧돌오름' 오름정원 '안돌~밧돌오름'(2015.10.16.금) 구좌읍 송당리에 위치한 안돌과 밧돌오름은 오름의 정상부에 돌이 많이 있어 '돌오름'이라 불려지다가 건너편에 모양새가 비슷한 오름이 있어 한라산을 중심으로 안팎(內外)의 개념을 도입하여 한라산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오름을 안돌(內石岳)로 .. 2015. 10. 17. 품격있는 '영아리' 품격있는 '영아리'(2015.10.13.화) 신령스럽다는 영아리오름은 안덕면 상천리에 위치한 표고 693m로 말굽형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용이 누운 형체인 용와이악(龍臥伊岳)에서 영아리로 와전되었다는 설과 신령스런 산으로 풀이하는 설 두가지가 있지만 후자에 비중을 두고 있네요. 한자로는 .. 2015. 10. 15. '새별오름'으로 떠나는 가을여행 '새별오름'으로 떠나는 가을여행~(2015.10.10.토) '저녁하늘에 샛별과 같이 외롭게 혼자 서 있다' 는 뜻에서 새별오름, 한자로는 신성악(晨星岳)이라 하는데 오름의 모양새가 날씬한 새가 날아가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조비악(鳥飛岳) 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애월읍 봉성리에 위치한 새별오름.. 2015. 10. 11. 가을의 여왕 '따라비오름' 가을의 여왕 '따라비오름'(2015.10.6.화) 점점 높아져가는 가을하늘~ 뺨을 간지럽히는 기분좋은 작은바람~ 코끝을 자극하는 들꽃향기~ 은빛억새로 출렁이는 제주가 품은 오름능선~ 가을의 시작을 알렸던 붉은 속살을 부끄러운듯 살며시 내보이던 억새는 어느틈엔가 하얀머리를 풀어헤치고 .. 2015. 10. 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