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름 나들이173

산책로가 아름다운 '족은바리메오름' 산책로가 아름다운 '족은바리메오름'(2015.6.7.일) 한라산 중산간에 자리잡은(애월읍 상가리) 족은바리메오름은 굼부리의 모양이 바리때(절에서 승려들이 쓰는 밥그릇)를 닮았다고 해서 바리+메(山) 바로 곁 큰바리메오름보다 작다 하여 '족은바리메오름'이라 불립니다. 표고 725.8m, 비고 126m.. 2015. 6. 9.
습지를 품은 '영아리' 습지를 품은 '영아리'(2015.5.22.금) 영아리오름은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에 위치해 있는 형태는 말굽형입니다. 높이는 693m로 용이 누운 형체인 용와이악에서 영아리로 또는 신령스런 산이란 뜻으로 '영산(靈山)'이라 풀이하는 두가지 설이 있습니다. 한자로 영아리악(靈阿利岳)이라 합니다... 2015. 5. 24.
노루가 살았던 '노로오름' 노루가 살았던 '노로오름'(2015.5.8.금) 노로오름은 애월읍 유수암리 한라산 1.000m 고지에 위치한 높이 1,070m의 펑퍼짐한 오름입니다. 남북으로 두 봉우리가 이어져 큰노로오름, 족은노로오름이라 불리고, 한자로는 그 뜻을 따서 獐岳(장악), 또는 음을 따서 老路岳(노로악)이라고 표기하고 있.. 2015. 5. 9.
신선바위 제주'선돌' 신선바위 제주'선돌'(2015.4.24.금) 서귀포시 상효동에 위치한 선돌은 한라산 자락에 자리잡아 한라산의 기운이 그대로 스며드는 하늘을 찌를듯한 노송이 뿌리를 내린 곳... 깊고 험한 계곡 자연의 속살을 그대로 간직한 숨소리 마저 멎게 하는 한라산의 기운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태고의 .. 2015. 4. 25.
뿔바위 '군산(굴메오름)' 뿔바위 '군산(굴메오름)'~(2015.4.21.화) 안덕면 창천리에 위치한 군산은 높이 334.5m의 원추형 오름이다. 오름의 모양새가 군막(軍幕)을 친 것 같다고 하여 '군산(軍山)' 산이 솟아날 때 굴메('그림자'의 제주어)같이 보였다 하여 '굴메오름' 화산이 폭발하니 상서로운 '서산(瑞山)' 등 여러 가지 유래를 지니고 있는 오름이다. 용의 머리에 쌍봉이 솟았다고 하는 정상의 뿔바위는 보는 위치에 따라 달리 보이지만 정상에 서면 뭔가 무시무시하고 신비감마저 든다. 남사면의 애기업게돌, 미륵돌, 눈썹바위, 구시물 등은 여러가지 이름만큼이나 다양하고 독특한 형상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름 정상에서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대평리의 산과 바다가 한 눈에 들어오고 대평리~마라도~송악산~산방산~모슬봉.. 2015. 4. 22.
'고니'라 불리는 고내봉 둘레길~ '고니'라 불리는 고내봉 둘레길~(2015.4.14.화)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위치한 고내봉은 고내마을 남동쪽을 버티고 있어 한라산 조망을 가리고 있다. 높이 135m로 일주도로변에 있고, 정상까지는 20여분이 소요된다. 마을이름 고내가 전이되어 고니오름, 고노오름으로 불리다가 한자로 고내봉.. 2015. 4. 16.
왕의 오름 '왕이메' 왕의 오름 '왕이메'(2015.4.10.금) 서귀포시 안덕면 광평리에 위치한 왕이메는 복합형 화구로 높이 612.4m로 정상까지는 20분 정도가 소요된다. 옛날 탐라국의 삼신왕이 이 곳에서 사흘 동안 기도를 드렸다고 하여 '왕이메'라 하는데 한자로 왕이악(王伊岳), 왕이산(王伊山), 왕악(王岳)이라 표기.. 2015. 4. 11.
비밀의 정원 '활오름~들렁모루' 비밀의 정원 '활오름~들렁모루'(2015.4.5.일) 서귀포시 강정동에 위치한 활오름은 높이 187m로 북사면으로 우묵하게 패인 형태의 말굽형 화구로 서사면 기슭에는 강정천의 상류가 흐릅니다. 산모양이 활처럼 생겼다하여 혹은 오름의 모양새가 활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한자이름 궁악(弓.. 2015. 4. 6.
'산달래'가 사는 안세미오름 '산달래'가 사는 안세미오름(2015.3.31.화)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안세미오름은 말굽형 화구로 높이는 396.4m로 왕복 1시간3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오름 기슭에 조리샘(쌀을 이는 데 쓰는 조리같이 생긴 샘), 조래천(깊은 산 속 새가 와서 먹고 가는 옹달샘), 명도천(조선시대 유학자 명도암선.. 201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