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름 나들이173 '생태공원'이 있는 광이오름 '생태공원'이 있는 광이오름(2015.3.29.일) 제주시 연동에 위치한 광이오름은 말굽형 화구를 한 높이 266.8m의 나지막한 오름이다. 오름의 모양새가 광이(괭이)모양으로 생겼다하여 광이오름이라 하기도 하고 오름의 형태가 남짓은오름(남조순오름)에 대해 간(肝)의 모양이라 하여 간열악(肝列.. 2015. 4. 1. '산자고'가 곱들락한 민오름(오라)~ '산자고'가 곱들락한 민오름(오라)~(2015.3.22.일) 제주시 오라동에 위치한 민오름은 높이 251.7m, 말굽형 굼부리 형태를 한 나지막한 오름이다. 나무가 없는 풀밭오름이라 하여 민오름(民岳, 戊岳)이다. 옛날에는 오름이 민둥산이었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은 소나무, 천선.. 2015. 3. 24. 민오름~사려니숲길의 봄.. 민오름~사려니숲길의 봄..(2015.3.13.금) 봉개동에 위치한 민오름은 나무가 없고 풀밭으로 덮힌 민둥산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름의 세모 모양 산정 모습이 송낙(무당이 쓰는 고깔)을 닮았다고 해서 '무녜(무녀)오름', 한자로는 민악(敏岳)이다. 트레킹의 메카 봉개! 목적지가 없는 도.. 2015. 3. 14. 생이소리질~(봉개)민오름 생이소리질~(봉개)민오름(2015.3.1.일)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절물자연휴양림'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자연이 주는 편안한 휴식을 제공해주는 숲 속 쉼터 역할을 해 줍니다. 휴양림에는 여러가지 산책로가 있습니다. 장생의 숲길(11.1km 3시간 소요) 숫모르 편백숲길(8km 2시간 30분 소요) 너나.. 2015. 3. 1. 단산(簞山) 가는 길~ 단산(簞山)가는 길~(2015.2.27.금)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위치한 단산은 형태는 원추형, 높이는 158m이다. 옛날 산야가 물에 잠겼을 때 오름이 바굼지(바구니의 제주어)만큼만 보였다는 전설에 연유해 '바굼지오름'으로 불리운다. 한자어로 대역하여 簞(대광주리 단)山이다. 또는 오름의 모.. 2015. 2. 28. 영천악~관나암 가는 길... 영천악~관나암 가는 길(2015.2.17.화) 관나암은 영천사와 영천관 사이 '영천천' 큰바위돌에 영천사에 머물던 스님의 각인 하였다고 탐라지 초본에 기록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마애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애명(磨崖銘)'이란 절벽 등 바위나 벼랑의 암석에 이름을 갈고 새긴 .. 2015. 2. 20. 민오름(봉개) 트레킹코스~ 민오름(봉개) 트레킹코스~(2015.2.6.금) 트레킹의 메카 봉개! 가족과 함께 하는 오름과 숲! 봉개동에 위치한 민오름은 나무가 없고 풀밭으로 덮인 민둥산이라 한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오름의 세모 모양 산정 모습이 송낙(무당이 쓰는 고깔)을 닮았다고 해서 '무녜(무녀)오름', 한자로 민악.. 2015. 2. 8. '묘산봉'으로 가는 빌레왓길~ '묘산봉'으로 가는 빌레왓길~(2015.2.3.화) '빌레'는 용암이 지상으로 흐르다 굳어진 것을 말합니다. 김녕의 빌레왓(암반 위에 있는 밭)길을 따라 걸으며 묘산봉까지 가는 길은 때묻지 않은 시골 마을의 소박함과 제주의 참모습을 담아 내고 있었습니다. 남문동굴 만장굴, 김녕사굴 등 화산동.. 2015. 2. 5. 영천오름(靈泉岳) 도드르길~ 영천오름(靈泉岳) 도드르길~(2015.2.1.일) 서귀포시 상효동에 위치한 영천악은 오름형태는 원형을 하고 있는 높이 277m의 나지막한 오름이다. 이 오름의 서쪽 기슭에 흘러가는 내(川)를 '영천천'이라 명명함에 연유하여 냇물 이름이 오름으로, 또는 오름 이름이 내(川) 이름으로 전이 되었다고 .. 2015. 2. 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